플랜트 정보

배관 설계와 시공의 기준, ASME B31.3 핵심 요약과 적용 포인트

KUKUGu 2025. 4. 21. 13:00

플랜트 산업에서 배관 시스템은 단순한 연결 수단이 아닌, 전체 공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이 배관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국제 규격이 바로 ASME B31.3입니다. 이 코드는 공정 배관(Process Piping)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며, 화학, 석유화학, 정유, 가스 산업 전반에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ASME B31.3의 핵심 개념과 함께 설계 및 시공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적용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해설합니다.

 

ASME B31.3 코드의 정의와 범위

ASME B31.3은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ASME)가 발행한 배관 코드 중 하나로, 공정 배관(Process Piping)에 대한 설계, 재료, 제작, 검사, 시험 및 안전 기준을 규정합니다. 본 코드는 발전소나 일반 건물의 배관이 아닌, 화학 처리 공정, 석유 정제, LNG, 가스 처리 시설 등 고위험 산업군을 대상으로 합니다. 적용 범위는 기계 장비 간 연결 배관, 반응기, 열교환기, 탱크 등으로부터 시작해 최종 밸브나 접속 지점까지 포함됩니다. B31.3은 Design, Materials, Fabrication, Assembly, Examination, and Testing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규격을 기준으로 한 설계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됩니다. 중요한 점은 B31.3이 단순 기술 기준이 아닌, 법적으로도 효력을 갖는 ‘코드(Code)’라는 점이며, 프로젝트 사양서 및 시방서의 기준선으로 널리 채택된다는 것입니다.

배관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

ASME B31.3에서는 배관 설계 시 다양한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압력 설계(Pressure Design)입니다. 배관 시스템은 설계 압력(Design Pressure)과 설계 온도(Design Temperature)에 맞춰 적절한 파이프 두께와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설계자는 MAWP(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을 기준으로 설계를 진행하며, 필요한 경우 부식 여유(Corrosion Allowance)와 제작 공차를 반영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응력 해석(Flexibility Analysis) 역시 핵심입니다. 고온의 유체가 흐를 경우 열팽창으로 인한 응력이 발생하므로, Expansion Loop, Expansion Joint 등을 고려한 설계가 필수입니다. 또한 구조적 지지(Structural Support) 설계 역시 B31.3의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설계자는 코드에 따라 계산서와 도면을 작성하고, 프로젝트 QA 절차에 따라 검토 및 승인받아야 합니다.

 

재료 및 제작 기준의 이해

ASME B31.3에서는 사용 가능한 배관 재료(Materials)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주로 ASTMASME에서 정의한 재료만을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탄소강 파이프는 ASTM A106, A53, 스테인리스강은 ASTM A312 등이 사용됩니다. 이 재료들은 각각 허용 응력값이 정의되어 있으며, 사용 온도 범위에 따라 선택됩니다. 용접 부위는 필수적으로 WPS(PQR)에 따라 용접되어야 하며, 제작자는 해당 자격을 갖춘 Welder Qualification을 보유해야 합니다. 또한, B31.3에서는 Category D Service와 같이 상대적으로 저압 환경에서는 일부 간소화된 기준을 허용하지만, 고온·고압 설비에서는 Category M(치명적 유체) 조건을 고려해야 하므로 더욱 엄격한 재료 및 검사 기준이 적용됩니다. 재료의 선택은 설계자의 권한이지만, 코드의 허용 범위 안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모든 자재는 MTC 검토를 통해 품질을 입증받아야 합니다.

 

검사 및 시험 항목과 실무 적용

ASME B31.3의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는 검사 및 시험(Examination and Testing) 기준입니다. 코드에서는 시공 후 비파괴검사(NDE) 비율을 정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경우 최소 5% 이상의 용접부에 대해 RT(Radiographic Test), UT(Ultrasonic Test) 등의 검사를 요구합니다. 특정 유체나 고위험 시스템의 경우 100% 전수검사가 요구되기도 하며, 이 기준은 프로젝트 사양서에서 구체화됩니다. 추가로 B31.3에서는 압력 시험(Hydrostatic Test 또는 Pneumatic Test)을 규정하며, 일반적으로 설계 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시험을 수행해야 합니다. 시험 전에는 모든 밸브, 계기류, 가스켓 등이 설계대로 설치되었는지 Pre-test Checklist를 통해 점검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QA/QC 문서로 관리되어야 하며, 최종 준공 단계에서의 인수인계 자료로 활용됩니다. 검사는 단순 품질 보증 차원을 넘어,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절차입니다.

 

결론

ASME B31.3은 플랜트 배관 설계와 시공에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단지 기술적 기준을 넘어, 전 세계 플랜트 엔지니어들이 신뢰하고 따르는 실무 표준입니다. 설계자는 배관의 압력 조건, 유체 특성, 환경 조건을 분석한 후 적절한 재질과 두께, 용접 방식 등을 결정해야 하며, 모든 자재는 코드에 적합한 규격으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시공 단계에서는 용접 자격, 검사 비율, 시험 방법까지 모두 이 코드에 맞춰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최종적으로 공정의 안정성과 직결됩니다. 따라서 플랜트에 참여하는 모든 엔지니어는 ASME B31.3의 구조와 핵심 조항을 숙지하고, 프로젝트 전 과정에 이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합니다. 향후 포스팅에서는 B31.3과 타 코드(B31.1, B31.8) 비교, 실제 설계 사례, 용접 WPS 작성법 등도 다룰 예정이니 참고 바랍니다.